베블렌 효과
베블렌 효과
경제용어 중 베블렌 효과라는 게 있습니다.
흔히 하는 생각으로 물건의 가격이 오르면 해당 물건을 사고자 하는 수요가 줄어든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러한 경우도 있습니다만 실제로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가격이 오르는데도 불구하고 구매 수요는 줄어들지 않고 반대로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중산층이나 그 이하에서는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습니다만 상류층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가격이 오른다고 해서 구매를 하지 않으면 자신들의 체면이 서지 않는다는 자괴감이 빠지는 경우입니다.
그런가 하면 가격이 오를 때일 수록 더욱 구매의지를 불태움으로서 주변에 과시를 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베블렌 효과라고 하며 유한계급론(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유한계급론은 베블렌(Thorstein Bunde Veblen)의 저서로 여기서 베블렌 효과가 등장합니다.
그는 미국의 경제학자로 1899년 '유한계급론'이라는 저서를 통해 물가와 수요의 비례에 대해 주장했습니다.
당시만 해도 고전적 경제학이 기반을 이루었으며, 여기에는 가격과 수요는 반비례로 움진인다고 가르쳤습니다.
하지만 베블렌의 주장에 따르면, 소비층을 상류층과 그렇지 않은 계층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중산층이나 하층민들과는 달리 상류층 소비자들은 주변의 시선을 많이 의식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구매의사 결정 시 제품의 품질 외에 다른 사람들에게 과시하기 위한 심리도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늘날로 치면 명품족과 같은 사람들을 이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기능적으로는 비싼 명품과 별 차이가 없음에도 굳이 고가의 제품으로 치장하여 자신을 드러내는 이들입니다.
이러한 행태는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가고 있으며, 빈부격차에 따른 갈등까지 조장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특히 유행에 민감한 청소년들을 둔 부모들은 베블렌 효과가 가져다 주는 파급력에 몸살을 앓을 수 밖에 없습니다.
주변에 친구들과 같은 비싼 유명메이커를 입고 있지 않으면 친구사이에 낄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 연유로 빚을 내서라도 사주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것입니다.
베블렌 효과가 가져다 주는 웃지 못할 헤프닝도 있었습니다.
어느 백화점에서 몇 십만원짜리 핸드백을 전시하면서 직원이 깜빡 실수를 하고 말았습니다.
가격표에 '0'을 하나 더 붙여 쓰는 바람에 삽시간에 10배로 가격이 뛰어버린 것입니다.
적지 않은 상류층 고객들이 구매를 했음에도 눈치를 채지 못하다고 나중에야 이를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백화점측에서는 급히 고객들에게 사과의 메시지를 전하고 환불을 제안했습니다.
그런데 가짜 명품을 비싼값을 주고 사간 고객들 중 한 사람도 백화점을 방문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모르긴 해도 엄청 무안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다른 이들에게 과시하려다가 명품도 아닌 핸드백을 명품가격에 샀으니 얼마나 민망하고 무안하겠습니까?
이정도 말씀드리면 베블렌 효과에 대한 사회적 문제점은 어느 정도 인지하셨을 것으로 압니다.
분수에 맞게 사는 게 가장 안전한 삶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