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issue

국제유가는 하락, 금가격은 상승

국제유가가 하락세를 드러내며 연일 그래프가 아래로 곤두박질 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사태로 경기는 회복되지 않은 반면 원유는 그 이상으로 생산되기 때문으로 풀이했습니다.

사실 미국의 원유 생산량은 최근 들어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미국 현지시간으로 31일 기준, 서부 텍사스 원유(WTI) 10월 인도분은 배럴당 0.8% 하락했습니다.

하락폭은 0.36달러 정도로 42.61달러로 마감되었습니다.

런던의 ICE선물거래소의 브랜트유 10월 물은 배럴당 1.2%인 0.53달러가 내린 상태입니다.

이를 가격으로 환산하며 45.28달러로 현재 거래가격입니다.

 

브랜트유의 경우 8월가지는 5개월 간 지속적으로 가격이 상승하였으며, 전체적으로는 7.5% 상승폭입니다.

특히 미국 내 허리케인 로라가 들이닥치면서 지난 26일에는 배럴당 가격이 43.78달러였습니다.

이는 5개월 간 최고치 기록으로 이후 4개월 동안은 5.8%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지난 6월달 미국의 하루 원유 생산량은 1044만 배럴로 42만 배럴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문제는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코로나19 여파로 경기 회복이 둔화된다는 점입니다.

 

그로 인해 세계 시장에 공급되어야 할 연료가 과잉현상을 보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사정이 이러한데 지난 주 미국 내에서는 두 차례의 태풍이 연속으로 들이닥쳤으니 말 다한 거나 마찬가집니다.

태풍이 닥치기 전 에너지 회사들이 플랫폼을 비롯한 정유소를 복구하기 위한 노력에 만전을 기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걸프 연안 원유의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효과는 반감되고 말았습니다.

 

원래 원유가격이란 게 산유국의 내부 사정에 따라 가격 차이를 보인다는 건 익히 아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번 미국 내 연속 허리케인과 같은 환경적 요인 외에 이를 악용하는 사례도 적지 않아 보입니다.

예를 들자면, 아직 허리케인이 불어닥치지도 않은 상태에서 유가급등이라는 언론플레이를 하는 경우입니다.

물론 모든 경우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만 적어도 흔히 말하는 작전세력의 존재는 무시할 수 없습니다.

 

미리 원유 선물거래를 한 다음 자연재해를 빌미로 삼아 유가를 조작하는 행위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이번과 같은 사례는 작전세력이라기보다는 코로나19와 자연재해의 영향이 더 크다고 하겠습니다.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 짧은 견해로 간략하게 몇 자 적어보았습니다.

 

유가는 하향곡선을 그리는 반면, 국제 금가격은 작은 폭이지만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발표한 12월 인도분은 온스당 0.2%인 3.7달러가 오른 1978.60달러에 마감되었습니다.

이러한 현상만 놓고 보더라도 지금의 코로나 사태가 어느 정도인지 그 위력을 실감하기에 충분합니다.

원래 국제적 정세가 좋지 못하거나 경제 불황이 찾아올 기미가 보이면 금값이 오르기 마련입니다,

금을 보유하신 분들께는 죄송합니다만 금가격이 조금이라도 내리는 날이 속히 오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