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issue

5세대 이동통신 재택근무 증가에 기여

최근 불어닥친 코로나19 사태로 사회 전반에 걸찬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공공장소에서 행해지는 대부분의 집회들이 점차 사라져가는가 하면, 나홀로 식사도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여기에 근무 패턴도 예전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다름아닌 재택근무로 회사에 모여 앉아 처리하던 업무를 각지 집에서 수행하는 문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업무적 유기성이나 신속한 처리에 있어서는 다소 부족한 면이 업지 않습니다.

하지만 직장상사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의 눈치를 받지 않기에 업무적 부담이 적은 것은 장점이라고 하겠습니다.

이런 양상이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업무형태로 점차 자리매김해 가고 있습니다.

 

이를 더욱 부추기는 기술적 혁신을 들라면 바로 5세대 이동통신이라 불리는 5G입니다.

현재 테마주로서도 연일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일 대비 2.51%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5세대 이동통신은 최저치 100Mbps에서 최대치로는 20Gbps의 속도가 가능한 통신 시스템입니다.

4G 대비 에너지 효율성에 있어서도 100배나 향상되었으며, 속도는 70배 정도 빠릅니다.

이러한 5G가 상용화되어 확대되면 스마트팩토리 실현이 가능해 지며, 자율주행도 꿈같은 일이 결코 아닙니다.

최근 세간의 관심을 받고 있는 원격의료도 가능해져 언제 어디서든 신속한 진단을 받기에 용이한 시대가 도래합니다.

가정이나 빌딩과 같은 건물도 예외는 아니어서 5세대 이동통신으로 스마트 시스템 구축이 실현될 수 있습니다.

 

요즘과 같이 인터넷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는 시절도 드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코로나19로 야외출입이나 모임이 점차 줄어들면서 혼자 시간을 보내야만 하는 때가 부쩍 늘어났습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동영상 시청을 비롯하여 온라인 쇼핑 관련 컨텐츠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재택근무마저 하나의 업무 형태로 자리를 잡아가면서 5세대 이동통신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배경을 살펴보면, 세계적으로 인터넷 사용자가 갑자기 늘어나면서 트래픽 또한 급증하기 시작했습니다.

기존의 4G 이하 통신 시스템으로는 감당해 내기 힘든 부분이 적지 않습니다.

5세대 이동통신 보급의 확대가 시급하며 조기 투자를 확대하면서 동시에 장비 투자 또한 서둘러야 할 때입니다.

국내 통신 3사도 조기 5G 인프라 구축을 위해 2023년까지 약 24조에서 25조 수준까지 투자를 결정한 상태입니다.

 

얼라이드마켓리서치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26년까지 전 세계 5세대 이동통신 시장 예상 규모는 6679억 달러로

한화로 약 815조원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현재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중국을 포함한 39개국에서 5G 개통을 서둘러 준비하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 5세대 이동통신 예상 가입자는 15억 8000만 명 정도로 전 세계 모바일 가입자의 18%에 해당합니다.

이 정도 수준이면 현세에 존재하는 어지간한 서비스는 집에서 모바일이나 PC로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재택근무 역시도 각자 집에 앉아서도 원활한 업무 수행이 가능하며 회의 역시 어렵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에는 5G 대역을 넘어 6G 이동통신 시대까지 점쳐지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6G는 5세대 이동통신인 5G에 비해 50배 이상을 속도를 자랑하며 기존의 4G 대비 100배나 빠릅니다.

다운로드 속도도 1TB를 1초 대에 가능하게 해주므로 2021년부터 5년 동안 약 2100억원의 투자를 서두르고 있습니다.